Ch 02-3. 자료형 변환
문자열 입력
문자열 자료형을 입력할 때 사용하는 함수 : prompt()
👉 prompt (메시지 문자열, 기본 입력 문자열)
1. input 상수를 선언
2.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내용을 경고창에 출력
불 입력
불 자료형을 사용하는 함수 : confirm()
👉 confirm(메시지 문자열)
👉 [확인] 버튼을 클릭하면 true를 리턴
[취소] 버튼을 클릭하면 false를 리턴
숫자 자료형으로 변환하기
다른 자료형을 숫자 자료형으로 변환하는 함수 : Number(자료)
👉 숫자가 적혀 있는 문자열을 숫자로 변환
e.g. > Number("25")
273
>typeof(Number("25"))
"number"
👉 숫자로 변환할 수 없는 문자열의 경우 NaN(Not a Number)라는 값을 출력
값은 숫자로 나타낼 수 없지만, 자료형은 수자가 맞음
e.g. > Number("#245")
NaN
> typeof(Number("#245"))
"number"
👉 불을 숫자로 변환하면 true는 1로, false는 0으로 변환
e.g. > Number(true)
1
A. 숫자 연산자를 사용해 자료형 변환하기
Number() 함수를 사용하지 않고도 다른 자료형을 숫자 자료형으로 변환할 수 있습니다.
👉 숫자 연산자 -, *, / 를 사용 ( +는 예외)
숫자가 아닌 다른 자료에서 0을 빼거나, 1을 곱하거나 또는 1로 나누면 숫자 자료형으로 변환
e.g. > "45" - 0
45
> typeof("45" - 0)
"number"
문자열 자료형으로 변환하기
다른 자료형을 문자열 자료형으로 변환시키는 함수 : String()
👉 다른 자료형을 문자열로 변환하면 기본 형태의 문자열로 출력
e.g. > String(47)
"47"
A. 문자열 연산자를 사용해 자료형 변환하기
String() 함수를 사용하지 않고도 다른 자료형을 문자열 자료형으로 변환할 수 있습니다.
👉 문자열 연결 연산자(+) 사용
문자열이 아닌 다른 자료에 빈 문자열을 연결하면 문자열 자료형으로 변환
e.g. > 300 + ""
"300"
불 자료형으로 변환하기
다른 자료형을 불 자료형으로 변환시키는 함수 : Boolean()
👉 대부분의 자료는 불로 변환했을 때 true로 변환
👉 0, NaN, '' or "" (빈 문자열), null, undefined → false
A. 논리 부정 연산자를 사용해 자료형 변환하기
Boolean() 함수를 사용하지 않고 논리 부정 연산자(!)를 사용해서 다른 자료형을 불 자료형으로 변환할 수 있습니다.
👉 불이 아닌 다른 자료에 !!를 사용하면 불 자료형으로 변환
e.g. >!!300
true
>!!0
false
🥸 inch를 cm 단위로 변경하기
1. 숫자를 입력받는다.
2. 입력 받은 숫자는 문자열(string)이므로,
문자열을 숫자형으로 변경한다.
3. 변경 된 숫자형을 cm 단위로 계산한다.
4. 출력
👉 두번째 줄의 alert는 내가 처음 생각한 답
결과는 같게 출력된다.
이런 문제들을 혼자 생각해보고 풀어보면
재미있을 듯!
🗒️ 정리
문자열 입력 → prompt (메시지 문자열, 기본 입력 문자열)
불 자료형 입력 → confirm(메시지 문자열)
숫자 자료형으로 변환 → Number(자료)
문자열 자료형으로 변환 → String(자료)
불 자료형으로 변환 → Boolean(자료)
👉 0, NaN, '' or "" (빈 문자열), null, undefined → false
🧐 오늘의 생각
오늘 Ch.02 자료와 변수가 끝났다.
아직은 왜 이런 자료형(data type)의 이해가 쉽지 않다.
계속해서 문제를 풀어보고, 생각해야겠다.
