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프론트엔드/혼자 공부하는 자바스크립트

혼공스 Day 3

Ch 02-1. 기본 자료형 (2/3)

문자열 자료형

 

B. 문자열 연산자 & 문자열 길이 구하기

  1. 문자열 연결 연산자
    👉 문자열 + 문자열 → 문자열 연결 연산자
  2. 문자 선택 연산자
    👉 문자열[인덱스] → 문자 한개
  3. 문자열 길이
    👉 문자열.length → 문자 개수

 

 

숫자 자료형

기본적인 사칙 연산과 같다.  e.g. 5 + 6 * 3  23 (5+18임으로 23의 결과 값이 나온다)

  👉 % 연산자는 좌변을 우변으로 나눈 나머지를 출력한다

       e.g. 11 % 3  2 (11/3은 3으로 나누고 나머지 2)

 

Q & A

Q1. HTML & 자바스크립트는 무슨 관계인가?

A1. 자바스크립트는 단독으로 사용이 가능하나,

     초보자의 경우 HTML 파일과 결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더 쉽다.

     그래서 파일 확장자를 OO.html (HTML 파일)로 사용하여

     HTML코드 내부에 <script> </script> 라는 코드를 입력하고

     이 내부에 자바스크립트를 입력한다.

 

Q2. <head> 중간 vs <body> 중간에 코드 입력?

👉 alert() 함수는 <head> 중간에 입력하고,

     document.body.innerHTML 은 왜 <body> 중간에 입력할까? (p.67)

A2. 아직 잘 모르겠다..

23.02.19 - <head> 요소는 페이지의 메인 부분에 보이는 정보가 아니고

<body> 요소는 메인 브라우저 창에 표시가 된다.

 

Q3. console.log() 메서드가 무엇을 의미하나?

A3. 프로그래밍 언어는 영어 구조와 비슷하다.

       [I love you] 는 [나는 사랑한다 너를] 의 구조

       [i.love(you)] 는 [console.log("Hello")] 와 같은 구조다.

       👉 console(식별자)은 log한다 Hello를

            log는 일지에 기록한다는 사전적 의미를 가지고 있으니,

           " 콘솔은 Hello를 기록한다" 정도의 의미가 아닐까 싶다.

'프론트엔드 > 혼자 공부하는 자바스크립트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혼공스 Day 6  (0) 2023.01.21
혼공스 Day 5  (0) 2023.01.20
혼공스 Day 4  (0) 2023.01.19
혼공스 Day 2  (0) 2023.01.18
혼공스 Day 1  (0) 2023.01.16